전자파차단 필름

전자파의 원래 명칭은 전기자기파(電氣磁氣波)로서 이것을 줄여서 전자파라고 부르는데  
전기 및 자기의 흐름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전자기 에너지입니다. 
전기장과 자기장이 반복하면서 파도처럼 퍼져나가기 때문에 전자파로 부르는데  
전자기기와  통신의 발전으로  급증하는 전자파를  차단키  위해  
전자파차단필름을 개발하여 인체에 유해한 발암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KakaoTalk_20171112_125456997.jpg



전자파의 유해성

에너지가 강한 X선, 감마선 등의 방사선의 위험성이나 자외선이 피부암 등의 여러 질병을 일으킨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입니다. 
최근의 전자파 유해성 논란의 대상은 송배전 선로나 가전제품 등에서의 '극저주파'(Extremely Low Frequency: ELF)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과 기지국 시설의 증가에 따른 무선 주파수에서의 '고주파'(Radio Frequency: RF)이다.UN산하 국제암연구기구(IARC) 는 99년에 전자파를 발암인자 2등급으로 분류, '발암가능성이 있는 물질' 로 규정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1996년부터 2005년까지 1년에 약 60만불의 연구비를 사용하여, 0-300 GHz 사이의 전자파 노출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일치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건강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자파 [電磁波]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전자파.jpg
전자파의 종류

전자파는 주파수(초당 파동수) 크기에 따라 주파수가 낮은 순서대로 전파(장파, 중파, 단파, 초단파, 극초단파, 마이크로파) ·적외선·가시광선(빛)·자외선·X선·감마선 등으로 구분됩니다.  전파는 주파수가 3000GHz (초당 3조번 진동)이하의 전자파를 말합니다.
즉, 태양빛, 적외선, 자외선도 알고보면 전자파의 일종입니다. 지구도 자체에서 전자파를 발생시킵니다. 또한 우리 생활주변의 의도적인 전파 발생원은 방송이나 통신용 안테나(방송국 및 중계소, 기지국, 선박이나 항공 통신용 송신장치, 인공위성 등), 이동전화 단말기(휴대폰, 워키토키 등), 레이더, 온열 치료용 의료기기 등이 있습니다.